03 영양 상태 판정
환자의 영양 상태가 불량한 경우 치료 화복이 지연되며 감염 등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영양 상태와 그 정도, 영양 불량 상태를 일으키는 요인을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의 영양을 판정하는 데는 크게 3가지 방법이 이용된다.
1. 임상 조사
환자의 피부, 눈, 머리 등 신체를 관찰하여 영양 상태를 말한다.
신체 부위 | 양호한 영양 상태 판정 | 불향한 영양 상태 판정 |
전반적인 외모 | 의식 명료, 자극에 민감함, 책임감 | 무관심, 냉담, 건강 불량 상태, 쉽게 피로, 원기 부족, 수면에 빠짐 |
전반적인 활력 상태 | 인내, 활발함, 숙면, 정력적 | 피곤해 보임, 무감각 |
체중 | 정상 신장, 정상 체격 | 과체중 또는 저체중 |
모발 | 윤기, 광택, 단단함, 쉽게 뽑히지 않음, 건강한 관리 | 건조하고 약함, 탈모, 쉽게 뽑힘, 가늘고 빈약함 |
얼굴 | 동일한 피부색, 건강한 외모, 부은 것이 없음 | 눈밑, 볼 주위의 어두운 피부색, 각질이 일어남, 안면부종, 창백한 피부색 |
눈 | 빛나고 맑으며 촉촉함, 눈꺼풀 가장자리에 상처 없음 | 창백한 안점막, 건조한 눈, 비토 반점, 혈관의 증가, 부드러운 각막, 눈 주위의 작은 황색, 둔감하거나 상처난 각막 |
입술 | 건강해 보이는 분홍색, 부드럽고 촉촉함, 트거나 부어 있지 않음 | 부어 있고 부풀어 있음, 구각염, 입가 가장자리의 갈라진 틈이나 상처 |
혀 | 짙은 붉은색, 표면에 돌기 있음 | 부드러워 보임, 둔한 붉은색이거나 자홍색, 부어 있음, 비대하거나 위축되어 있음 |
치아 | 곧고 덧니, 충치, 통증이 없음, 밝고 변색이 없음, 턱 모양이 바름 | 충치, 얼룩, 덧니, 빠진 이가 있음 |
잇몸 | 단단하고 건강한 분홍색, 부은 곳이나 출혈이 없음 | 단단하지 못하고 쉽게 출혈, 가장자리가 붉은색이며 우묵히 패이거나 부어 잇음 |
선 | 갑상선이 커지지 않음, 얼굴에 부기가 없음 | 갑상선 비대(갑상선종), 이하선이 커짐(볼이 부어 있음) |
피부 | 부드럽고 피부색이나 건강, 가볍고 촉촉함, 종기, 부종이 전혀 없으며 고른 피부색 | 거칠고 건조, 각질이 일어남, 부어 있고 창백함, 착색, 피하지방이 부족, 관절 주변의 지방 축적, 멍, 정상출혈 |
손톱, 발톱 | 단단함, 분홍색 | 스푼 형태, 약하고 창백함, 손 · 발톱면이 고르지 않음 |
골격 | 양호한 자세, 기형이 없음 | 자세가 좋지 않음, 굽은 다리, 안짱다리, 돌출한 견갑골, 횡격막의 기형 |
근육 | 발달이 잘 되고 단단함, 양호한 긴장 상태, 일부에 | 근육 이완, 긴장 부족, 쇠약, 발달이 불충분함, 보행 곤란 |
사지 | 연약하지 않음 | 연약하고 부드러움, 부종 |
복부 | 평평함 | 팽창되어 있음 |
신경계 | 정상적 반사작용, 심리적 안정 | 발목 및 무릎 반사작용의 감소나 손실, 정신운동의 변화, 정신적 혼란, 의기소침, 감각상실, 운동신경의 약화, 방향감각 상실, 감정적 반응의 상실, 손발의 작열감, 얼얼함 |
심혈관계 | 정상적인 심장박동 수, 잡음이 없음, 연령에 맞은 정상적 혈압 | 심장 비대, 빈맥, 혈압 상승 |
위장관계 | 촉진할 만한 장기나 덩어리가 없음(아동은 정상적으로 간 주위가 만져질 수 있음) | 간-비장 비대 |
2. 체위 조사
키, 체중, 상완위, 상완근육둘레 등이 있다. 체위 조사 지표는 단백질과 에너지의 불량 상태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① 이상적인 체중백분율(Ideal body weight, IBW)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체위 조사로 표준체 또는 환자가 건강할 당시의 신장(키)과 체중을 비교하여 평가한다. 이때 체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종, 탈수, 절단 등도 고려한다. 비만도가 -10%~+10%를 정상, +10~+20%를 과체중, +20% 이상을 비만이라고 하는 데, 체지방량 등 개인치를 고려해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가. 표준 체중(kg) = [신장(cm) - 100] ×0.9
나. 비만도 = 현재 체중/표준 체중 × 100
비만 여부 | 비만도 지수(%) |
비 만 과체중 정 상 저체중 극심한 저체중 |
>120 111~120 90~111 80~90 80~89 <80 |
②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
- BMI = 체중/신장 ²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인종이나 성별과 관계없이 체질량 지수 25kg/㎡ 이상을 과체중, 30kg/㎡ 이하에서도 당뇨병 및 심혈관계 질환 위험이 증가하며, 동일한 체질량 지수에서 서양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부지방과 체지방율이 높아 체질량 지수 30kg/㎡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할 때 동양인에서 비만 관련 건강 위험을 과소평가하게 될 우려가 잇다.
국내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세계보건기구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대한비만학회에서는 과체중의 기준을 체질량 지수 23kg/㎡ 이상, 비만의 기준은 체질량 지구 25kg/㎡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기준은 우리나라 성인에서 체질량 지수에 따른 비만 관련 질환 증가가 체질량 지수 25kg/㎡ 를 기점으로 1.5~2배로 증가하는 데 근거를 두고 있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치과 2 구강 생리학 (1) | 2024.02.16 |
---|---|
기초 치과 1 치의학 (1) | 2024.02.14 |
기초 영양 1 영양과 영양소 (2) | 2024.01.12 |
기초 약리 1 약물과 약물 작용 (1) | 2024.01.05 |
응급 간호 6 운반법, 쇼크 환자 응급처치 (1) | 2024.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