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기초 영양 2 영양 상태 판정

Kelly5 2024. 2. 13. 12:04
728x90
반응형

03 영양 상태 판정

 

 환자의 영양 상태가 불량한 경우 치료 화복이 지연되며 감염 등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영양 상태와 그 정도, 영양 불량 상태를 일으키는 요인을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의 영양을 판정하는 데는 크게 3가지 방법이 이용된다.

1. 임상 조사

 환자의 피부, 눈, 머리 등 신체를 관찰하여 영양 상태를 말한다.

 

           신체 부위                      양호한 영양 상태 판정                    불향한 영양 상태 판정
       전반적인 외모 의식 명료, 자극에 민감함, 책임감 무관심, 냉담, 건강 불량 상태, 쉽게 피로, 원기 부족, 수면에 빠짐
   전반적인 활력 상태 인내, 활발함, 숙면, 정력적 피곤해 보임, 무감각
              체중 정상 신장, 정상 체격 과체중 또는 저체중
              모발 윤기, 광택, 단단함, 쉽게 뽑히지 않음, 건강한 관리 건조하고 약함, 탈모, 쉽게 뽑힘, 가늘고 빈약함
              얼굴 동일한 피부색, 건강한 외모, 부은 것이 없음 눈밑, 볼 주위의 어두운 피부색, 각질이 일어남, 안면부종, 창백한 피부색
                눈 빛나고 맑으며 촉촉함, 눈꺼풀 가장자리에 상처 없음 창백한 안점막, 건조한 눈, 비토 반점, 혈관의 증가, 부드러운 각막, 눈 주위의 작은 황색, 둔감하거나 상처난 각막
              입술 건강해 보이는 분홍색, 부드럽고 촉촉함, 트거나 부어 있지 않음 부어 있고 부풀어 있음, 구각염, 입가 가장자리의 갈라진 틈이나 상처
               혀 짙은 붉은색, 표면에 돌기 있음 부드러워 보임, 둔한 붉은색이거나 자홍색, 부어 있음, 비대하거나 위축되어 있음
              치아 곧고 덧니, 충치, 통증이 없음, 밝고 변색이 없음, 턱 모양이 바름 충치, 얼룩, 덧니, 빠진 이가 있음
              잇몸 단단하고 건강한 분홍색, 부은 곳이나 출혈이 없음 단단하지 못하고 쉽게 출혈, 가장자리가 붉은색이며 우묵히 패이거나 부어 잇음
               선 갑상선이 커지지 않음, 얼굴에 부기가 없음 갑상선 비대(갑상선종), 이하선이 커짐(볼이 부어 있음)
             피부 부드럽고 피부색이나 건강, 가볍고 촉촉함, 종기, 부종이 전혀 없으며 고른 피부색 거칠고 건조, 각질이 일어남, 부어 있고 창백함, 착색, 피하지방이 부족, 관절 주변의 지방 축적, 멍, 정상출혈
          손톱, 발톱 단단함, 분홍색 스푼 형태, 약하고 창백함, 손 · 발톱면이 고르지 않음
              골격 양호한 자세, 기형이 없음 자세가 좋지 않음, 굽은 다리, 안짱다리, 돌출한 견갑골, 횡격막의 기형
              근육 발달이 잘 되고 단단함, 양호한 긴장 상태, 일부에  근육 이완, 긴장 부족, 쇠약, 발달이 불충분함, 보행 곤란
              사지 연약하지 않음 연약하고 부드러움, 부종
              복부 평평함 팽창되어 있음
             신경계 정상적 반사작용, 심리적 안정 발목 및 무릎 반사작용의 감소나 손실, 정신운동의 변화, 정신적 혼란, 의기소침, 감각상실, 운동신경의 약화, 방향감각 상실, 감정적 반응의 상실, 손발의 작열감, 얼얼함
           심혈관계 정상적인 심장박동 수, 잡음이 없음, 연령에 맞은 정상적 혈압  심장 비대, 빈맥, 혈압 상승
           위장관계 촉진할 만한 장기나 덩어리가 없음(아동은 정상적으로 간 주위가 만져질 수 있음) 간-비장 비대

2. 체위 조사

 키, 체중, 상완위, 상완근육둘레 등이 있다. 체위 조사 지표는 단백질과 에너지의 불량 상태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① 이상적인 체중백분율(Ideal body weight, IBW)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체위 조사로 표준체 또는 환자가 건강할 당시의 신장(키)과 체중을 비교하여 평가한다. 이때 체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종, 탈수, 절단 등도 고려한다. 비만도가 -10%~+10%를 정상, +10~+20%를 과체중, +20% 이상을 비만이라고 하는 데, 체지방량 등 개인치를 고려해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가. 표준 체중(kg) = [신장(cm) - 100] ×0.9

 

 나. 비만도 = 현재 체중/표준 체중 × 100

 

                                        비만 여부                                     비만도 지수(%)
                                         비    만
                                         과체중
                                         정   상
                                         저체중
                                   극심한 저체중
                                         >120
                                       111~120
                                        90~111
                                         80~90
                                         80~89
                                         <80                                       

 

②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

  •  BMI = 체중/신장 ²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인종이나 성별과 관계없이 체질량 지수 25kg/㎡ 이상을 과체중, 30kg/㎡ 이하에서도 당뇨병 및 심혈관계 질환 위험이 증가하며, 동일한 체질량 지수에서 서양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부지방과 체지방율이 높아 체질량 지수 30kg/㎡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할 때 동양인에서 비만 관련 건강 위험을 과소평가하게 될 우려가 잇다.

 국내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세계보건기구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대한비만학회에서는 과체중의 기준을 체질량 지수 23kg/㎡ 이상, 비만의 기준은 체질량 지구 25kg/㎡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기준은 우리나라 성인에서 체질량 지수에 따른 비만 관련 질환 증가가 체질량 지수 25kg/㎡ 를 기점으로 1.5~2배로 증가하는 데 근거를 두고 있다.

반응형